배우기_자격과정(6)
-
[자격공부] <뇌건강 창의인지 지도사> 자격 취득!
뇌건강 창의인지지도사 자격 취득! 100세 시대,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개인 및 사회적 부담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한국도 2023년 기준 약 90만 명의 치매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2040년까지는 약 300만 명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8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치매 발병률이 약 30~40%에 달한다고 한다. 치매는 예방과 조기 진단,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사회활동뿐만 아니라, 지적/인지활동 등을 통해 치매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치매예방 인지활동가, 자격 과정, 지난 1월부터 시작된 교육이 오늘 시험을 끝으로 마무리가 되었다. 시험 보기 전날 기출문제 연습도 하며 나름 준비했는데, 막상 시험 보는 1시간은 ..
2025.03.28 -
[자격과정정보] 한국진로직업교육개발원
☞ 한국진로직업교육개발원 한국진로직업교육개발원100만 회원이 선택한 믿을수 있는 교육원,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수상 200과목 장학지원 이벤트!www.k-studygood.co.kr
2025.03.22 -
[자격과정] <한국어교원 자격> 공부를 시작했다
한국어 교원 자격증을 취득하기로 결정하고 공부를 시작했다. 공부 시작하기가 쉽지는 않았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일 수 있을지 고민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격증이 있다면, 우선 교회영어예배부에서 외국인 노동자 대상 한글교육에 필요할 것 같고, 미국에 가게 되면 교회와 지역사회에서 쓰일 기회가 있을 것 같아서다. 마침 이 자격증을 취득한 동료가 있어서, 여러 가지 도움을 받고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내용이 너무 복잡하고 어렵다는 것이다. 게다가 8과목을 동시에 수강하고, 대면 수업이 아닌 온라인 수업이라서 집중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물론, 집중하기 어려운 주변 상황도 있다. 왜 이렇게 일상이 바쁜지... 책도 읽어야 하고, 책도 만들어야 하고, 취재도 해야 하고, 매일 일도 해야 하고, 살..
2024.09.24 -
[자격과정] <한국어교원자격증 2급> 도전
한국어교원자격증 2급 도전! 07.18일 개강! 오랜 전부터 취득하고 싶었던 자격증 중 하나다. 차일피일 미루기만 했는데, 이번엔 큰맘 먹고 도전하려고 한다. 세계적으로 한국 위상이 높아감에 따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간다. 국내외 여러 기관과 단체, 교회, 가정 등에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예전 미국 한인교회에서 한글학교 스텝진으로 봉사한 적이 있는데, 운영하는 것도 즐거웠지만 직접 가르치고 싶었다. 한국에 와서도 교회 영어예배부에서 한국어를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미국 한인교회에서 봉사하고 싶다. 마침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취득한 동료가 있어서 다양한 정보를 구하고 있다. 동료가 추천한 자격취득 교육기관에 직접 전화해 아양한 정보를 구했다..
2024.07.12 -
[자격과정] <하브루타 독서코칭 지도사> 과정, 다양한 일상 하브루타 실천 방법
책을 읽다 보니 독서토론을 하고 싶었다. 독서토론에 대해 알고 싶어서 수강신청을 했다. 과목 이름은 이다. 3번째 수업 주제는 이었다.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Zoom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수업 과제는 수업내용을 정리해서 제출하는 것이었다.과목: 주제: 3. 다양한 일상 하브루타 실천 방법일시: 2020.8.25(화) 10-12:00과제: 수업내용 글로 정리하여 제출하기 다양한 일상 하브루타 실천 방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수업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느낀 점과 좋은 점을 정리해보았다. 일상 하브루타 실천방법은 경험, 질문, 설명 하브루타 등이 있다. 1. 경험 하브루타 실천 방법 수업은 주제 선정, 질문하기, 대화하기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는 일상 경험 중에서 ‘외식’으로 정해 있었다. 질문 만들기..
2020.08.27 -
[자격과정] 하브루타 란?
하브루타(Chavrusa, chavruta, havruta, חַבְרוּתָא)는 유대인의 전통적 학습방법이다.문자적 의미는 우정, 동료 등을 뜻한다. 하브루타 학습에서는 교사-학생 간의 관계와 달리, 각자가 분석하고 자신의 생각을 조직화하여 상대방에게 설명하며,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질문하면서, 때로는 전혀 새로운 관점을 발견하기도 한다. 좁은 의미로는 동급생, 넓은 의미로는 가정, 선생님과 서로 대화함으로써 서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 사고력,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다. 하브루타는 친구를 의미하는 히브리어인 하베르에서 유래한 용어로, 학생들끼리 짝을 이루어 서로 질문을 주고받으며 논쟁하는 유대인의 전통적인 토론 교육 방법으로 유대교 경전인 ≪탈무드≫를 공부할 때 주로 사용된다. 나이와 성별, ..
2020.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