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회복탄력성, 김주환
이 책에 있는 심리 특정 도구인 회복탄력성 테스트 를 통해 현재 나의 회복탄력성을 측정했다. 1. 자기 조절 능력= 감정 조절력+충동 통제력+원인 분석력 2. 대인관계 능력=소통능력+공감능력+자아 확장력 3. 긍정성=자아 낙관성+생활만족도+감사하기 1,2,3 세 가지 점수의 총합이 회복탄력성 지수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점수는 195점인데 182점이 나왔다.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다는 결과가 나왔다. 1. 자기 조절 능력은 평균보다 낮게 나왔고, 그중에서 감정 조절력이 가장 부족하고 2. 대인 관계 능력도 낮게 나왔는데, 그중에서 자아 확장력이 가장 부족하고 3. 긍정성 항목은 평균보다 높게 나왔으며, 자아 낙관성이 높게 나왔다. 공감능력과 자아낙관성이 비교적 높다고 한다. 회복탄..
2019.07.07